〈원자력 연구개발 중장기계획〉
핵연료주기기술
핵연료기술개발은 핵연료를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술로 핵연료 설계 및 핵연료의 통제·제어 기술 등이 이에 속한다. 1991년 당시 선진국에서는 고연소도 핵연료 개발, 혼합핵연료 가공기술 개발 등을 수행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1988년 중수로용 핵연료를 국산화하여 국내 소요량 전량을 공급하고 있었으며, 경수로용 핵연료는 서독 KWU로부터 기술을 도입하여 국산화하여 1989년부터 국내 핵연료 소요량을 국산화했다.
한편 국내에서는 개량형 중수로 및 경수로 핵연료개발, 고연소도 핵연료개발, 핵내용 실증 시험 및 방사 후 시험평가기술개발, YAG 등 각종 레이저 개발, 레이저 분광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었다. 정부는 과거의 축적된 기술과 현재 추진하고 있는 기술 개발을 바탕으로 2001년까지 핵연료 전주기 즉, 정련, 변환, 농축, 성형가공에 이르는 모든 기술을 완성하면서 이들 기술을 고도화하려는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1. 1단계 사업(1992∼1996)
가.경·중수로용 연계 핵연료 주기개발
세계에서 유일하게 경수형로와 중수형로를 함께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경수로에서 사용한 핵연료를 중수로에서 재활용하는 경·중수로 연계 핵연료를 한국·미국·캐나다 3국간의 공동연구로 추진할 계획을 세웠다.
나.미래형 핵연료 개발
2000년 이후에 개발될 후속 원자로 노형 정책과 연계하여 추진하였다.
다.경수로형 개량형 핵연료 개발 (산업체 주도 연구개발 과제)
1995년까지 경수로용 고연소도 개량 핵연료의 개발을 완료하고 중수로용 개량 핵연료는 한·캐나다 국제공동연구 및 기반기술을 토대로 향후 중수로 개발 방향과 연계하여 개발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2. 2단계 사업(1997∼2001)
가.경·중수로 연계 핵연료주기 기술개발
나.중수로용 개량 핵연료 기술개발
2단계 사업에서 핵연료 분야의 독립 연구과제로 분리되었다.
다.미래형 핵연료 개발
라.경수로형 신형핵연료 개발
교육과학기술부 (http://www.mest.go.kr)
과학기술처,《과학기술연감》, 1992·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