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과학기술

원자력기반기술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원자력 연구개발중장기계획〉

배경

1978년에 고리 원전 1호기가 상업운전을 시작한 이래로 계속 추가적인 원자로가 설치·가동되었고, 이에 부응해서원자력 기술 개발도 함께 추진해왔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원자력 기술은 여전히 초기 단계에 있었고, 기존의 원자력 이용발전 수준도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고 있었다. 이에 1992년에 새롭게 만들어진 원자력 연구개발 중장기계획에서는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단기간 내에 해소하기 위해 전략적인 기반 기술을 집중 개발하기 위한 연구 사업을 마련하였다. 


원자력기반기술 분야에서는 차세대 원자로를 위한 신소재 개발, 원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단계측제어기술 및 인간공학기술 개발과 다기능·고지능 원자력 산업용 로봇 기술, 고출력 레이저 기술, 원자분광기술, 장수명 핵종 소멸처리기술 등을 집중 개발할 계획을 세웠다. 이외에 1차년도 중장기 계획에서는 미래의 에너지원인 핵융합로 개발을 위해 중형 코카막 개발 등 핵융합로 연구기반도 구축할 계획도 추진하였다. 1995년에 기초과학지원연구소의 주관 아래 세계 4대 수준의 차세대 콤팩트형 초전도 토카막 핵융합 플라즈마 실험 장치를 개발할 목적으로 하는 차세대초전도토카막 장치 사업이 선도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면서 핵융합로 연구는 국가핵융합연구개발계획에 따라 수행하도록 하였다.

내용

1. 1단계 사업(1992∼1996)

가.원자력 신소재 개발

나. 첨단 계측제어기술 개발
다. 인간공학기술개발
라. 원자력산업용 첨단 로봇 기술 개발
마. 레이저 기술개발
바. 원자 분광기술 개발
사. 장수명핵종 소멸처리 기술개발
아. 핵융합로 연구
자. 중수로 개량 국제 공동 연구 및 기반기술 개발



2. 2단계 사업(1997∼2001)
가. 원자력 재료기술 개발
나. 원자력 요 다기능 내 방사선 로봇 개발
다. 양자공학 기술 개발
라. 핵자료 체제 기술개발
마. 핵종변환기술 및 장치 개발
바. 연구로 이용기술 개발

참고자료

교육과학기술부 (http://www.mest.go.kr)
과학기술처《과학기술연감》1992·1997

집필자
임경순(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14. 0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