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국권침탈 전후로부터 1945년 8월 14일까지 국내외에서 일제의 국권침탈을 반대하거나 독립운동을 하기 위하여 항거하다가 그로 인하여 순국한 선열들의 숭고한 독립정신과 희생정신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민들의 나라사랑정신을 함양하기 위하여 매년 기념식을 거행하고 있다.
가. 기념식 연혁
일제에 침탈당한 국권회복을 위한 항일투쟁으로 순국하신 선열들의 얼과 위훈을 기념하고자 1939년 11월 21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의정원 제31회 회의에서 대한제국의 국권이 실질적으로 침탈당한 을사조약(1905년)이 늑결된 날인 11월 17일을 전후하여 많은 분들이 순국하였으므로 이 날을 법정기념일로 정하였다. 광복 후에는 광복회, 순국선열유족회 등 민간단체가 주관하여 매년 추모행사를 거행하여 왔으며, 1962년부터 1969년까지는 국가보훈처에서 거행하였고, 1970년부터 1996년까지는 현충일 추념식에 포함시켜 거행하였다. 이후 1988년 9월에 광복회를 비롯한 독립운동 관련 단체 등이 순국선열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복원·제정하여 줄 것을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여 마침내 1997년 5월 9일에 정부기념일로 복원되었고, 같은 해 11월 17일부터 다시 국가보훈처에서 기념식을 거행해 오고 있다.
나. 행사 개요
1) 일 시 : 매년 11월 17일 11:00 (시간 변동 가능)
2) 장소 : 백범김구기념관 등(변동 가능)
3) 참석 대상 : 정부주요인사, 독립유공자 및 유족, 각계대표, 시민 등 1,000여명
4) 식순 : 국민의례 / 약사보고 / 독립유공자 포상 / 기념사 / 기념공연 / 순국선열의 노래
- 국가보훈처, 《보훈 50년사 1961~2011》, 2011, pp. 495-497.
- 국가보훈처 홈페이지 나라사랑광장 (http://www.mpva.go.kr/narasarang/event_list.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