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사회복지

요양급여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국민건강보험법」

배경

요양급여라 함은 건강보험 가입자 및 피부양자에게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를 말하며,「국민건강보험법」제39조에서는 진찰·검사, 약제·치료재료의 지급, 처치·수술 기타의 치료, 예방·재활, 입원, 간호, 이송을 요양급여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내용

1. 요양급여기준
건강보험 가입자 및 피부양자에게 제공하는 요양급여의 방법, 절차, 범위, 상한 등을 정하고 있는 것을 말하며, 이는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하고, 그 세부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요양급여의적용기준및방법에관한세부사항'으로 정하여 고시하고 있다. 

 

2. 요양급여대상
가입자 및 피부양자가 자신의 질병·부상 및 출산과 관련 요양기관으로부터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질적·양적 범위를 말한다. 요양급여대상 및 비급여대상의 범위는 의료보장수준과 밀접히 관련되며, 가입자의 보험료 부담수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현행 국민건강보험법상 요양급여대상의 규정 형태는 비급여사항을 규정하고 이에 해당되지 않는 부분은 요양급여대상으로 하는 이른바 Negative List 방식을 취하고 있다. 

 

3. 요양급여비용열외군
복합상병 등이 내재되어 질병군 요양급여비용이 지극히 높게 발생된 것으로, 질병군 요양급여비용 총액이 행위별로 청구하였다고 가정하였을때의 총진료비보다 적으면서 그 차액이 100만원을 초과한 경우를 말한다.


4. 요양급여비용총액
요양기관의 청구에 따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심사에 의하여 요양기관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의 총 합산금액을 말한다. 
 

5.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요양기관이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에게「국민건강보험법」제39조의 규정에 의하여 제공하는 요양급여 즉, 진찰·검사, 약제·치료재료의 지급, 처치·수술 기타의 치료, 예방·재활, 입원, 간호, 이송의 의·약학적 타당성과 비용효과성에 대하여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는 것은 의료서비스 제공자에 대하여 유인을 통한 의료의 질 향상을 유도하고, 건강보험 가입자 등을 의약학적 경제적 측면에서 제도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자료

법제처 종합법령정보센터 (http://www.klaw.go.kr)
보건복지가족부 (http://www.mw.go.kr)
보건복지부《보건복지백서》2005
김상균 외《사회복지개론》나남출판사, 2001

집필자
김용하(순천향대학교 경상학부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