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법」
1949년 12월 12일 「지방자치법」이 1차 개정되었으나 건국 초기의정치적 사회적 이유로 선거실시가 지연되었고, 한국전쟁으로 다시 미루어져 1952년의 제1차 지방선거의 실시를 통해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는 본격적으로 운영되었다. 1952년 4월 25일에 시·읍·면의회의원선거를, 그리고 동년 5월 10일에는 도의회의원선거가 실시되어 시·읍·면, 도의회가구성되고 각 자치단체장이 지방의회에서 선출되어 우리나라도 지방자치시대를 열었다.
1. 제1회 도의회의원 선거
1952년 5월 10일 최초로 실시된 도의회의원선거는 경기도·강원도·서울특별시는 미수복지구로 선거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고, 전라북도의 남원·완주·순창 및 정읍의 4개 군은 치안관계로 선거를 연기하였다. 모두 7개 도에서 실시한 결과 선거인 총수 6,358,383명 가운데서 81%에 해당하는 5,165,226명이 투표하였다. 당선자는 306명, 소속별로는 자유당 147명(48%), 무소속 85명(27.8%) 등이다.
현대사회연구소,《한국지방자치연감》(창간호),1992 pp. 2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