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이용 및 계획법」(건설교통부)
「정보화촉진 기본법」(정보통신부)
21세기 기술의 진보에 따라 지식정보 사회의 구축과 정보기술을 이용한 지역의 산업경제 등의 지원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국토의 균형개발을 위하여 「도시계획법」과 「국토이용관리법」을 통합하여 2002년에 「국토이용 및 계획법」을 제정하였고, 또한 국토의 이용 및 관리업무의 효율성을 위하여 정보체계를 구축이 필요하였다. 지식기반산업의 인프라 조성과 기업활동을 하는 기업들의 지원을 위한 정보서비스가 필요하고 신기술과 연계한 대 국민서비스를 할 수 있는 인터넷 기반의 정보시스템을 포함한 정보전략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정부는 「정보화촉진법」(5조 1)에 따라 정보화촉진을 위하여 5년마다 「정보화촉진계획법」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또한 「국토이용 및 계획법」은 국토의 이용·개발과 보전을 위한 계획수립 및 집행 등에 관해 필요한 사항을 토대로 계속 개정되면서 공공복리를 증진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계속 2004년까지 7번 개정하였다.
1.데이터베이스구축
도시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구성항목으로는 지형도, 지적도, 지구도로 구성된 공간데이터와 토지거래정보, 외국인토지정보, 부동산중개업정보 등으로 이루어진 속성데이터를 구축으로 나누어지고,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2001년 현재 전국 총 232개 지자체 중 55개 지자체가 구축 완료, 72개 지자체는 현재 구축 중이다..
구 분 | 총계 | 98 | 99 | 2000 | 2001 | 비고 | |
지자체수 | 시도 | 9/16 | - | - | 4 | 5 | |
시군구 | 127/232 | 1 | 12 | 56 | 58 | ||
DB구축완료 | 55/127 | 1 | 10 | 44 | 0 | ||
추진실적 | 44% | 100% | 83% | 79% | 0% |
3. 연계방안(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 통합개발)
가. 시스템 아키텍쳐국토연구원〈국토정보전산화기본구상〉1991
국토지리정보원〈국토조사사업연구〉2004
건설교통보〈국토이용정보체계 구축계획〉2005
건설교통부홈페이지
건설교통부〈국가지리정보체계 2003년 시행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