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국토및지역개발

광대역통합망구축기본계획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정보화촉진 기본법」

추진분야별소요예산

광대역통합망(BcN)이란 음성ㆍ데이터, 유무선 등 통신ㆍ방송ㆍ인터넷이 융합된 품질 보장형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김 없이(Seamleass)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이다. 국제 표준인 NGN에 통신과 방송의 융합이라는 개념을 포함시켜 브랜드화시킨 신조어로, 국내 IT 산업을 활성화하고, 장기적으로는 국내 정보 통신(IT) 기술이 세계적인 영향력을 행사를 목표로 한다. 다양한 서비스를 쉽게 창출ㆍ제공할 수 있는 개방형 구조의 통신망과 안전하고(Security), 품질 보장(QoS) 및 망 관리가 용이한 통신망, 광대역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무선ㆍ방송 가입자망, 네트워크나 단말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서비스를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통신망 등을 지향한다.

광대역통합망(BcN)의 정의

(단위: 억 원)

사업구분

1단계

(2004-2005)

2단계

(2006-2007)

3단계

(2008-2010)

인프라구축

출연

1,662

628

882

3,172

융자

1,200

1,000

1,500

3,700

민간

360

460

890

1,710

소계

3,222

2,088

3,272

8,582

기술개발

출연

1,873

1,120

1,800

4,793

민간

1,781

1,565

3,300

6,646

소계

3,654

2,685

5,100

11,439

총계

출연

3,535

1,748

2,682

7,965

융자

1,200

1,000

1,500

3,700

민간

2,141

2,025

4,190

8,356

총계

6,876

4,773

8,372

20,021

✳ 민간 자체투자(약 65조 원) : 상용화 기술개발, 상용망 구축·운영, 응용서비스개발·보급 등을 추진

배경

그동안 우리나라의 초고속정보통신망은 질적으로 양적으로 세계적인 수준이나, 초고속인터넷 및 이동통신가입자 증가율 둔화로 통신사업자들이 신규 수익창출이 어려워지고 그에 따른 투자가 위축 등 관련 IT산업이 침체되어 이를 타개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새로운 융합서비스 시장을 확대하여 이용자 서비스 편익 증진을 극대화하는 한편, 사업자에겐 새로운 수익원 창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정보통신분야에 대한 투자를 유발하고 홈네트워크, 지능형 로봇 등 IT신성장동력 핵심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광대역통합망(BcN)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정보통신부는 관련 통신사업자, 제조업체, 연구기관, 학계 등 각계 전문가들과 차관을 단장으로 한 `광대역통합망 구축기획단`을 구성하고 산·학·연·관 합동으로 본 계획을 마련하였다.

내용

1. 광대역통합망 표준모델 및 서비스 개발
광대역통합망 구축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단계별 망 구조 및 기술 규격, 서비스 제공기준 등에 관한 표준모델 개발·활용 및 산·학·연 등이 참여하여 세부적인 표준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한다.


2. 광대역 통합서비스
개발·보급 촉진 광대역통합망 구축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대표적인 통합서비스를 중점 발굴하고, 서비스사업자, 제조업체 공동으로 통합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핵심 기술개발 및 시범적용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3. 광대역 통합전달망 구축
End -To - End 구간에 대하여 이용자·서비스별 요구수준에 따라 전송속도, 손실, 지연 등 서비스 품질(QoS) 수준을 차별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품질보장망 구축하고, 정보통신망 기능의 마비, 개인정보유출, 불건전정보의 유통 등 정보통신 환경을 저해하는 제반위협과 부작용 등의 정보화 역기능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통합망 보완기능을 고도화와 거의 무한대의 주소자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주소체계를 구축한다.


4. 가입자망의 광대역화
전화선·동축케이블·UTP케이블·광케이블 등의 유선매체를 통한 유선가입자와 고정, 보행, 저속이동 또는 고속이동 등 이용자의 이동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랜, 휴대인터넷 및 이동통신 등의 무선망, 언제 어디서나 이용이 가능한 고품질(HD급 영상, CD급 음향) 양방향 지능형서비스를 제공한다.


5. 구내통신망의 고도화
개인이 소유·관리하는 공동주택 및 업무용건물구내의 케이블, 배관, 단지함 등의 통신·방송설비인 구내통신망의 고도화를 유도하여 공동주택 및 건물에 미래의 다양한 통신·방송 서비스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6. 홈네트워크 보급촉진
가정내의 모든 정보단말·가전기기 등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누구나 기기,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통신망으로 사이버아파트, 일반아파트. 단독주택 등 다양한 주거환경에 맞는 최적의 표준 홈네트워크의 모델을 제시하여 보급한다.


7.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구축
사물에 RFID,센서 등을 부착하여 유·무선 가입자망과 연동함으로써 이용자를 중심으로 각 사물의 정보를 수집·가공하고 개체간의 정보교환, 측위, 원격처리·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환경구축한다.

참고자료

서삼영, BcN 동향, 2004
정보통신부〈광대역통합망(BcN) 구축 기본계획〉2004.2
정보통신부(http://www.mic.go.kr

집필자
박은병(한남대학교 도시부동산학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14. 0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