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보건

국제식량기구(FAO) 가입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FAO 한국협회 설립근거 (「민법」(제32조))

배경

국제식량기구(FAO)는 미국의 프랭클린 루즈벨트(Franklin D. Roosevelt) 대통령의 제창에 의해 캐나다 퀘벡에서 34개국의 서명으로 1차 총회를 1945년 10월 16일에 개최해 정식으로 발족하게 되어 최초의 UN 상설전문기구로 등장하게 되었다. FAO는 모든 국민의 영양상태 및 생활수준의 향상, 식량(농산물)의 생산 및 분배능률 증진, 그리고 영양상태, 식량 및 농업(임업, 수산업 포함)에 관한 정보의 수집, 분석과 보급 및 관련 국내·국제 활동의 촉진, 권고를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1951년 FAO 제6차 총회시〈FAO 국가위원회(FAO 한국협회)〉설치 및 그 운영재원을 국가예산으로 지원토록 의결하여 1957년〈FAO 국가위원회〉기능수행을 위해 비영리 사단법인〈FAO 한국협회〉가 설립(「민법」제32조)되고 매년 국고예산으로 일정경비 지원하고 있다. 2004년말 기준 FAO의 총 회원국수는 189국가이고, 우리나라는 1949년 FAO 회원국으로 가입하였고 분담금을 매년 약 3백만 불 이상 지불하여 11위를 차지하고 있다.

내용

1. FAO 한국협회
FAO 한국협회는 우리나라와 UN/FAO 상호간의 유기적인 연결 및 FAO 회원국과의 기술교류와 정보교환 활동을 목적으로 1957년도에 설립되었다. FAO 한국협회의 주요사업으로는 국제회의 및 세미나 적극 참여 지원으로 기술협력 강화, 국제농림수산물 동향 및 정보·자료의 체계적 분석·보급, 세계 식량수급동향을 파악·보급하여 국민식량안보의식 제고, WTO 농업협상동향 집중분석·전파로 아국의 협상대응전략 수립에 기여하기 위한 사업들을 수행하고 있다.


2. 식량안보특별프로그램(Special Programme for Food Security: SPFS)
FAO에서는 1994년부터 LIFDCs(low-income food-deficit countries, 식량수입으로 그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는 국가, 82개국)의 만성적인 기아극복을 위해 SPFS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의 주요내용으로는 식량생산 및 생산성의 증가를 통한 국가 및 가계차원의 식량안보개선 사업 추진(수질관리, 작물생산의 집약화 및 다양화, 제약요소 분석·해결)을 위하여 FAO와 Donor countries(NGO 포함)의 협력 하에 추진되고 있다. 특정국가가 SPFS 사업을 요청하면 FAO가 Partner를 물색해 주고 있다.


3. TeleFood
TeleFood는 1996년 세계기아극복을 위한 실천과제의 하나로 1997년부터 “세계식량의 날(매년 10월 16일)”을 전후하여 세계 각국에서 개최되는 모금운동(캠페인)을 말한다. 소득이 낮고 식량이 부족한 국가들의 식량증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성금모금을 목적으로 음악회, TV 및 라디오 방송, 스포츠 경기, 전시회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개최되고 있다. 2006년 10월 TeleFood 개최국은 70개국 이상이고 TeleFood 방송 시 방청자는 5억명 이상이며 모금액은 19백만 달러 이상이다. TeleFood를 통해 이렇게 모금된 자금을 지원받은 국가는 127개국 이상이다.


4. 기술협력사업(Technical Cooperation Programme: TCP)
TCP 사업은 1976년부터 시작되어 회원국(주로 개도국 및 시장경제 이행국가)의 농림어업 및 농촌개발에 관한 당면문제 해결을 위해 FAO의 특화된 능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협력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TCP는 FAO 정규예산으로 지원되는 정규사업의 핵심부분이며 중점사업으로는 식량증산, 영세농가 및 농촌 노동자의 소득향상 및 영양상태 개선, 저개발국가(LDC)와 최빈개도국(LIFDC), 그리고 영세농가에 우선 지원 활동 등이 있다.


5. 월경(越境) 동식물 병해충에 대한 긴급예방 시스템(EMPRES)
1994년부터 FAO가 동식물 질병의 예방·통제 및 근절을 위한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EMPRES(The Emergency Prevention System for Transboundary Animal and Plant Pests and Diseases)사업을 시작하였다. 이 사업은 심각한 가축질병의 효율적인 방제를 위한 조기경보, 조기대응, 연구 및 조정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활동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EMPRES의 2대 우선과제로는 메뚜기와 우역(牛疫)이 있는데 이는 동물 질병인 전염성 소/염소 늑막 폐렴, 구제역과 아프리카, 극동 및 서남아시아의 농업생산 위협하고 있는 사막 메뚜기이다. EMPRES는 회원국의 요청에 따라 관여하며, TCP를 통해 질병퇴치를 직접 지원하고 있다.

참고자료

농림수산식품부 (http://www.mifaff.go.kr/)

집필자
정명섭(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품산업단 수석연구원)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14. 0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