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지역산업진흥계획〉
「지역산업진흥사업운영요령」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관리지침」
「산업기술개발사업운영요령」
4개 지역은 산업기술개발사업운영요령에 의거 1단계 사업을 지역특화기술개발사업(1999~2003년)으로 추진하였으며, 2004년도부터는 「지역산업진흥사업운영요령」에 따라 4개 지역 2단계화 9개 지역 1단계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을 시작하였다.
〈지역산업진흥계획〉에 따라, 4개 및 9개 지역별 지역전략산업 육성을 통해 산업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자생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단기간에 글로벌 경쟁우위 확보가능성이 높은 핵심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지역산업공통기술개발사업, 지역전략산업의 구조고도화 및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핵심복합기술을 집중 개발하는 지역산업중점기술개발사업, 다수의 기업이 공동으로 요구하는 산업기초,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지역산업기초기술개발사업을 시행하였다.
1.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은 특성에 맞춰 3가지 세부사업으로 구분하여 시행중이며, 지역산업공통기술개발사업은 지역별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산업클러스터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전략산업을 선정하여 단기간에 글로벌 경쟁우위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은 제품 및 기술 개발로서 2년 이내의 기간에 개발될 수 있도록 무담보, 무이자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고 개발완료 후 성공시 정부지원금의 일부만을 상환하는 사업이다.
지역산업중점기술개발사업은 4년 이내의 중기적으로 지역전략산업의 경쟁력제고 및 구조고도화를 위해 집중개발이 필요한 시스템 및 복합기술 개발로서 총괄 및 세부 주관기관은 해당 지역 소재 기업 및 지역산업사업 주관기관, 대학 및 연구기관 등을 원칙으로 하며 연간 10억원 이내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역산업기초기술개발사업은 대구지역 섬유산업을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다수의 기업이 공동으로 필요로 하는 상품화 전단계의 기초, 원천기술 개발로서 총 사업비의 100%(1억원 내외)를 1년간 지원하고 기술료는 비징수이며, 대구지역의 대학, 연구기관 등을 대상으로서 개발 결과는 공개 활용하는 사업이다.
2. 9개 지역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 지원분야
지역 | 지역산업공통기술분야 | 지역 | 지역산업공통기술분야 | 지역 | 지역산업공통기술분야 |
대전 | ·바이오 ·고주파부품 ·지능형로봇 | 울산 | ·자동차 ·정밀화학 | 전남 | ·생물식품 ·생물농업 ·신소재 |
충남 | ·디스플레이 ·영상미디어 ·동물자원 | 경북 | ·전자정보 ·생물건강 ·해양생명환경 | 전북 | ·자동차부품 ·기계 |
충북 | ·반도체장비부품 · 전자정보부품 ·보건의료 · 생물의약 | 강원 | ·바이오 ·의료기기 · 해양생물 | 제주 | ·바이오 |
지역 | 전략산업 | 지역산업공통기술분야 | 지역산업중점기술분야 | 지역산업기초기술분야 |
부산 | 신발 | ㅇ 부품, 소재, 완제품 기술 | ㅇ 부품, 소재, 완제품 기술 | - |
부품소재 | ㅇ 차세대 신소재 기술 ㅇ 첨단기계류 부품, 소재 기술 ㅇ 자동차부품 기술 ㅇ 조선, 조선기자재 핵심기술 | - ㅇ 첨단기계류 부품, 소재 기술 ㅇ 자동차부품 기술 ㅇ 조선, 조선기자재 핵심기술 | - | |
해양생물 | ㅇ 해양생물 식의약소재 및 산업화기술 | ㅇ 해양생물 식의약소재 및 산업화기술 | - | |
대구 | 섬유 | ㅇ 고감성 및 기능성 의류용 및 산업용 섬유소재기술 ㅇ 환경친화적 염색 가공 및 처리 기술 ㅇ 섬유기계설비 첨단화기술 ㅇ 섬유산업제품 고부가가치화 기술 | ㅇ 다기능성 첨단 섬유소재 기술 ㅇ 첨단염색가공기술 ㅇ 섬유기계설비 첨단화기술 | ㅇ 섬유소재공정의 표준화 및 기반기술 ㅇ 염색가공/환경분야의 공정표준화 및 기반기술 ㅇ 섬유기계의 표준화 및 기반기술 ㅇ 패션소재 및 관련 기반기술 ㅇ 봉제관련 신소재 및 IT 활용기술 |
나노 | ㅇ 디스플레이,환경,에너지분야의 나노부품 ㅇ 생의학용,전자파 차폐용 나노섬유 및 나노섬유 필터 등 | ㅇ 나노소재기술 | - | |
모바일 | ㅇ 모바일 단말 핵심모듈 및 서브시스템 등 관련기술 | ㅇ 모바일 단말 핵심기술 | - | |
메카트로닉스 | ㅇ 메카트로닉스 핵심부품기술 ㅇ 친환경, 모듈 자동차부품기술 등 | ㅇ 메카트로닉스 System Integration 기술 | - | |
전통생물 | ㅇ 기능성생물 신소재 및 응용 제품기술 ㅇ 전통유용 생물자원 탐색 및 생산기술, 기능성제품등 ㅇ 한방제품평가기술 | - | - | |
광주 | 광산업 | ㅇ 광응용제품 기술 | ㅇ 차세대 광반도체 소재, 부품, 시스템 기술 ㅇ 차세대 광통신부품, 시스템 기술 ㅇ 광응용제품 기술 ㅇ 광산업기반기술 | - |
전자부품 | ㅇ 디지털컨버전스생활가전의 부품,모듈,서브시스템 및 요소기술등 | ㅇ 디지털 컨버전스 생활가전 핵심기술 | - | |
경남 | 기계 | ㅇ 선박용 부품 및 기자재 기술 ㅇ 중소기업형 기계류 부품, 소재기술 ㅇ 메카트로닉스 유니트 및 시스템기술 ㅇ 항공우주 산업 관련 핵심기술 등 ㅇ 정밀기기 및 계측기기의 핵심부품 및 시스템기술 | ㅇ 선박용 부품 및 기자재 기술 ㅇ 차세대 선도형 기계류 핵심 부품 및설비기술 ㅇ 메카트로닉스 유니트 및 시스템기술 ㅇ 항공우주산업 관련 핵심기술 ㅇ 정밀기기 및 계측기기의 핵심부품 및 시스템기술 | - |
로봇 | - | ㅇ 로봇핵심 부품, 제어기 및 주변기기관련 기술 ㅇ 첨단 산업용 로봇기술 | - | |
지능형 홈네트워크 | ㅇ 홈 시큐리티, 홈 오토메이션, 홈 네트워크 가전분야 기술 등 | ㅇ 홈 시큐리티, 홈 오토메이션, 홈 네트워크 가전분야 기술 등 | - | |
생물소재 | ㅇ 생물소재 및 생물건강 산업분야 산업화기술 | - | - |
산업자원부/한국산업기술평가원,〈2006년도 지역혁신사업 안내〉, 2006
한국산업기술평가원,《산업기술평가백서》, 2006
한국산업기술평가원,〈지역혁신사업 종합현황 및 연계체계 분석〉, 2006
산업자원부,「산업기술개발사업 관련법령 및 규정」, 1999
지식경제부 (http://www.mke.go.kr)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http://www.keit.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