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산업/중소기업

선도/차세대신기술개발사업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산업발전법」 제24조
「산업기술개발사업운영요령」

추진경위

산업자원부는 1998년 7월 「2010년 산업기술예측과 장기발전전략 연구」를 수행하여 차세대신기술개발사업을 신규사업으로 기획하여, 1998년 11월 「사업운영규정」을 제정하고 1999년부터 차세대신기술개발사업을 착수하여 1999년 신규 6개 과제, 2000년 신규 5개 과제, 2001년 신규 8개 과제, 2002년 신규 5개 과제, 2003년 신규 4개 과제, 2004년 신규 3개 과제, 2005년 신규 5개 과제를 선정하여 지원하였다.

배경

신산업정책의 일환으로 2010년대 미래산업을 주도할 지식집약 신산업의 창출 및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전략기술·제품군을 개발함으로써 21세기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능성있는 기술분야에 대한 집중지원을 통해 세계수준의 핵심기술을 조기에 확보하여 반도체산업과 같이 미래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분야를 현시점에서 예측하고, 사업화를 전제로 한 기술개발과제를 도출하여 단계별로 집중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내용

1. 사업내용
민간연구기관 중심의 산학연 공동연구로 추진하되, 7년간 2~3년 단위로 구분하여 1단계에서는 특허 및 사례분석, Lab Scale 연구개발, 응용연구기반을 확립하는 기술기반 탐색연구를, 2단계에서는 시제품 개발, 시험장치 설계 및 제작하는 응용기술개발을, 최종 단계에서는 성능평가 및 표준화 관련연구, 현장 테스트 등의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며, 이를 위해 과제당 연간 20억원 내외를 지원하였으며, 연도별 사업예산은 다음과 같다. 

 
(단위 : 억원)

구분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합계
정부 110 216 419 542 642 614 654 3,197
민간 70 117 184 230 338 337 362 1,638
합계 180 333 603 772 980 951 1,016 4,835


2. 연도별 지원과제 현황

가. 1999년
- 종양 및 종양 내피세포 선택적 암 유전자치료제 개발
- HDDS(Holographic Digital Data Storage) 시스템 기술 개발
- 선천성 질환 유전자 치료제 개발
- 유전자 정보를 활용한 Oligomer 합성과 cDNA/Oligo DNA chip 시스템 개발
- 정밀펀칭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다기능 슬림폰용 적층형 안테나 개발
- 마이크로 MIM 기술을 이용한 Heat Control Module 개발
- 고전압 SiC 쇼트키 다이오드 제조기술 개발
- 미세금형가공기술을 응용한 차세대 다기능 슬림폰 부품 박형경량금속 성형기술개발
- Clay/Polymer Nano-composite용 천연MMT분말소재의 국산화기술개발
- 3차원 정보단말기 신호처리 응용기술 개발
- 미디어 및 소자 관련 기반 기술 개발
- 나노 복합재 분산용 세라믹스분말 제조기술 개발
- 복합기능형 캔틸레버 어레이제작
- 3D용 디스플레이 개발
- 실감형 3차원 정보 단말기 기술 개발(총괄과제)
- 탄소나노튜브 성장제어 및 응용연구
- HDDS용 기록 및 재생 기술 개발
- MEMS 기술을 이용한 DNA Lab on a chip 시스템 개발
- 고주파 SiC FET 전력증폭 소자 개발
- 난치성 질환 유전자 치료제 개발(총괄과제)
- 리포좀 유전자 전달체를 이용한 혈액질환 및 간암치료제 개발
- SiC 공정 및 측정 기술 개발
- 차세대 대용량 정보저장장치의 개발(총괄)
- 나노 복합재 분산용 금속분말 제조 기술 개발
- 종양 선택적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두경부암 치료용 신약 개발
- SiC IC 회로기술 개발
- 계면구조 제어에 의한 기능성 분자조립체 및 검출입자소재 개발
- 초집적 반도체 CMP 공정용 연마재 슬러리 및 패드 제조기술 개발
- 고밀도 NF용 광기록 헤드 Unit 기술 개발
- 고기능성 열경화성수지 나노복합재 개발
- 미세 성형기술 개발
- Milli-Structure 생산기술개발(총괄)
- 고기능 나노복합체 개발(총괄)
- SiC 반도체 기술개발(총괄)
- 엘라스토머 나노복합재의 제조 원천기술 개발
- 근접장 광응용 정보저장장치
- ECL 방식에 의한 DNA Chip 개발
- SPM-based Data Storage 기록/재생 헤드 및 미디어 구동기의 개발



나. 2000년
- 성층권 장기 체공 무인 비행선의 추진시스템 기술개발
- 지능성 발현을 위한 진화 적응 복합칩 개발
- 성체 적합성 인산칼슘계 세라믹스 응용기술 개발
- 조직공학을 이용한 근골격계 재건용 대체조직 개발
- 체내분해성 정형/성형외과용 고분자 인플란트 제품개발
- 하이브리드 인공고관절 골두 및 비구소켓 개발
- 유기/무기/금속 하이브리드 나노복합재료 개발
- 2GHz ~ 6GHz 광대역 Multi-mode MIMO 트랜시버 칩 개발
- IWM 기술개발
- 환경오염 및 생활습관 관련 질환의 Biomarker 탐색 및 Probe 개발
- 세포외기질 모방형 골수복재 개발
- 극소형 광대역 튜너블 필터 기술개발
- 인공 신경망 기반의 지능 모듈 개발
- 지능형 생물정보처리 시스템 개발
- 식품오염 및 독성 검출용 단백질 Probe 개발 및 검출시스템 구축
- 산업용 초소형 Protein / DNA Chip System 생산기술개발
- 차세대 무선통신용 트랜시버 시스템 아키텍쳐 및 안테나 개발
- Microsystem 과 Microfluidics 기술을 이용한 단백질 검출 및 Sample Delivery 시스템
- 차세대 무선통신용 트랜시버시스템 개발(총괄과제)
- 성층권 장기 체공 무인 비행선의 체계종합 기술개발
- Multi-Functional 안테나 기술개발
- 생체활성 세라믹스의 제조 및 생체 적합성 연구
- 생체Hybrid 재료 및 응용기술개발(총괄과제)
- 수퍼 지능칩 및 응용기술개발 (총괄과제)
- Intelligent and interactive Machine 개발
- 생체진단용 Protein chip developement
- 다목적 성층권 장기 체공 무인 비행선 개발(총괄과제)
- 성층권 장기 체공 무인 비행선의 자동조종 및 제어기술 개발
- 신경재생재료 및 줄기세포 응용기술 개발
- SDR(Software Defined Radio) 시스템 플랫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기술개발




다. 2001년
- Electrospinning 공정기술 및 응용제품 개발
- 식물체를 이용한 human RANK protein의 생산기술 개발
- 나노 프로브를 이용한 나노레벨 표면 측정 시스템 개발
- Flash-electro hybrid spinning 시스템 및 공정 개발
- 생체자기 시스템 Integration 기술 개발
- 서비스/감성기반 퍼스널로봇 기술개발
- 식물세포 배양을 통한 의약용 hGM-CSF 생산기술개발
- 신 기능성 POF 소자 개발
- 유무기 나노혼성체의 분산특성 및 구조분석 평가기술개발
- 나노입자의 표면특성 개질 및 설계기술개발
- 나노기술 기반의 차세대 산업화 핵심요소기술 개발
- 내열성 재료 및 Cabling 기술개발
- CO2를 이용한 냉난방 및 급탕 시스템용 열교환기의 개발
- 퍼스널로봇 기반기술개발(총괄과제)
- 형질전환 식물 현탁세포 배양을 통한 CTLA4Ig의 생산기술 개발
- 생체자기신호 분석 임상지표 DB 구축 및 임상적 활용기술
- 근거리 통신용 Graded Index POF 개발
- CO2 냉매용 고효율 압축기 개발
- CO2를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개발
- 생체자기신호의 한의학적 응용기술
- POF환경평가기술 및 표준화 기술개발
- 담배에서의 산업용 laccase 생산기술개발
- POF적용 광도파로 소재 및 소자개발
- CO2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용 요소부품 설계 및 제작기술 개발
- 고성능 이차전지 나노 전극재료 개발
- 퍼스널 로봇의 고기능모듈 기술개발
- 나노도메인 특성을 이용한 SiC 무기섬유 개발
- 식물로부터 생산된 단백질 활용성 제고
- 식물체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단백질 생산기술 개발 (총괄과제)
- 기능성 나노 전자소자 및 회로 응용기술 개발
- 생물질 인식 나노패턴 표면을 이용한 proteomics용 분리체 및 암 진단용 나노반도체
- 초고속 광통신대역 양자점 VCSEL array module 개발
- 퍼스널 로봇을 위한 제어/인식 기술 개발
- 합성수지 광섬유(POF) 기술 개발(총괄과제)
- 퍼스널로봇을 위한 정보/지능 기술 개발
- 고기능 초미세 광·열유체 마이크로부품 기술개발(총괄)
- 고휘도 마이크로 광 부품 접속 조립 및 시스템 통합 기술 개발
- Biomagnetism을 이용한 신 의료기기 개발
- 초미세입자 및 바이오물질 제어분석기
- 퍼스널로봇을 위한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 환경친화적 자연냉매인 CO2를 적용한 고효율 냉난방시스템 개발(총괄)
- Electrospinning 및 유무기 혼성기술을 이용한 산업용 섬유제조기술 개발(총괄과제)
- 신소재/공정 기반의 photonic IC 제작
- 고품격 화학소재생산용 마이크로플랜트 모듈개발
- 산업섬유용 Alumino-silicate와 Ferrite 나노분말 제조 및 응용제품 개발
- 고효율 이미지 가이드 및 센서용 POF 개발



라. 2002년
- EUVL용 레지스트 개발
- 혈액내의 혈청 분리를 이용한 plastic disposable Mobile Diagnostic Module 개발
- DNA 칩 분석 시스템 개발
- 정보저장매체 재료개발 및 특성해석(홀로그램 메모리용 미디어 개발)
- 바이오 네트워크 프로세서 개발
- 솔-젤 소재를 이용한 가입자망 광통신부품 개발
- 압축성형을 이용한 Stetroscopic Module 개발
- 다채널 생체 자기신호 파형분석시스템 개발
- 벌크 아몰퍼스 합금기술 개발
- 나노급 반도체용 EUV 리소그라피 핵심기술개발(총괄)
- 승화법에 의한 탄화규소 단결정 성장 및 웨이퍼 제조 기술 개발
- TRAIL 발현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암유전자 치료제 개발
- 생체 자기 고속 정·역문제 알고리듬 개발
- 태양전지 윈도우/필름용 솔-젤 광전변환소재 개발
- 생태계 모방 생존 하드웨어 개발
- EUVL 마스크 개발
- 지능형 위협 방지게이트웨이 개발
- 네트워크 기반 적용 생존형 바이오프로세서 및 응용기술개발(총괄)
- 미세 선재 제조 기술 개발
- 초소성 성형기술을 이용한 벌크 아몰퍼스 부품화 기술
- 액상성형에 의한 BMG 판재 제조기술
- Mobile Device의 초소형 Zooming and Auto Joint Module 개발
- 세라믹공정 솔-젤 원천소재 응용기술 개발(총괄)
- PDP제작용 솔-젤 저온소성소재 개발
- 가스터빈/연료전지 혼합 발전용 마이크로 가스터빈 개발
- 벌크 아몰퍼스 합금 및 공정의 핵심기반기술 개발
- 초고강도고기능 구조용 금속재료 및 가공기술 개발(총괄)
- 가스터빈/연료전지 혼합 발전용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개발
- 가스터빈/연료전지 혼합 발전시스템 통합 개발
- 가스터빈/연료전지 혼합형 고효율 발전시스템개발(총괄)
- 솔-젤 하이브리드 생체재료 및 응용기술 개발
- 마스크 물질 및 구조 연구
- 인텔리전트 윈도우/필름용 전기변색소재 개발



마. 2003년
- 융합기술을 활용한 지식기반 통합 디지털 제조환경 구축
- 지식기반 민첩형 자율조립 시스템 구축
- 조직 복원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맞춤형 세포친화 입자소재 개발
- 감염질환 바이러스 진단을 위한 컨텐츠확보 및 조기진단 시스템 개발
- 지식기반 제품개발 업무지원 통합협업 포털구축
- 지능형 휴먼인터페이스 터미널 및 상황인식 시스템 개발
- 웹운용 지능형 고속,고정밀 가공시스템 개발
- UWB RF and System 기술 개발
- 차세대 무선통신용 Multi-Band RF FEM 개발
- 암세포관련 단백질 표적형 유기입자 개발
- 시스템 통합기술개발 및 성능 평가/검증기술 개발
- 이온빔 이용 나노가공용 장비 개발
- 전자빔 기반 복합나노 형상 측정기술개발
- UWB 통신 기반 휴먼인터페이스 접목 응용기술 개발
- 신경세포 표적성 나노 입자 소재 개발
- 1Gbps급 전송을 위한 UWB IC 설계 핵심 기술 개발
- 다중생체정보기반 실감형 디바이스 개발
- 생체적합성 유무기입자 소재 개발
- 화학적 개질에 의해 미세구조가 조절된 기능성 입자소재 개발
- 집속이온빔을 이용한 나노가공시스템 설계 및 이온집속기구 개발
- 글로벌 정보공유 및 지식기반의 차세대생산시스템기술 개발
- 나노 가공공정 및 응용기술 개발
- 진공용 나노 스테이지 및 부품 조작 기구부 개발
-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 통신 및 측위 기술 개발
- 물리화학적 선택반응성 유기입자 기술 개발



바. 2004년
- 다중모드 POF용 양방향 송수신기 집적기술 개발
- 도전성 금속 나노분말 및 Sol-Paste 개발
- 고속 다채널 뇌자도 신호처리 및 분석 시스템 개발
- 나노 영역의 실시간 3차원 홀로그램 현미경 개발
- 바이오 센서용 나노 플랫포옴
- 조절래디칼중합에 의한 정밀제어 고분자 소재개발
- Micro-factory 장착형 Vision/Inspection 시스템 개발
- 마이크로 모바일 발전 기계 장치 개발
- 축합고분자의 고차구조 에멀젼 신중합기술 개발
- Nano applicaiton을 위한 oligomer의 친환경 중합 기술
- 마이크로 전기화학 복합형상 제거 시스템 개발
- 뇌세포사멸 조절 물질 개발
- 고분자 Parallel Optical Interconnect의 개발
- 세균의 펩타이드 합성경로 제어에 의한 난치성 감염증 치료제 개발
- Lipase를 활용한 환경친화형 정밀제어 고분자 중합기술 개발
- 뇌신경 세포 신호조절에 의한 치매치료제 개발
- 세로토닌 수용체 세포신호 조절 물질 개발
- 인간크기의 휴머노이드 플랫폼 운용기술 개발
- 차세대 Micro-Factory 시스템 기술 개발
- Micro/Meso부품 대응형 마이크로 기계가공 시스템 기술연구
- Reconfigurable Micro-Factory 조립.통합제어 기술개발
- 초미세 마이크로 소성 성형가공 시스템 개발
- 세포신호 조절을 통한 난치성 질환 치료용 합성의약품 개발 기술
- 세포내 도파민 수용체 신호조절 치료제 개발
- 신에너지를 이용한 내열고분자의 친환경제조기술 개발
- 암세포의 성장인자 수용체 신호전달 억제제 개발
- 환경 친화 신중합법에 의한 정밀제어 고분자소재 개발
- 전이금속 촉매를 사용하지 않는 결합 방법을 통한 bipolar 일체형 전기발광 고분자 개발
- 칼슘항상성 관련 세포신호조절에 의한 허혈성질환 치료제 개발



사. 2005년
- 당쇄공학을 이용한 림프종 치료용 항체 개발
- 내성억제 무기 항암제 나노캡슐개발
- 당쇄 변형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B형 간염 백신 개발
-차세대 지능형 피부흡수 나노캡슐 원천기술 개발
- EUV 마스크 세정 기술 개발
- 당쇄 변형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탄수화물 의약품 개발
- 벌크 아몰퍼스 중공부품 제조기술 개발
- 유비퀴터스 디스플레이용 전기변색 캡슐소재 원천기술 개발
- 자동차용 유무기 탄성 나노복합재 응용기술 개발
- Replication Process를 이용한 차세대 다기능 슬림폰용 카메라 모듈 개발
- 밀리미터파 시스템용 Thin-Film 기반 (SOP-D) Passive Integrated Packaging 기술 개발

 -진단검사 전문가 시스템 개발
- 차세대 차량용 고강도 Al 판재 및 압출 소재개발
- 전자산업용 고정밀 스크라이버 제조기술개발
- 자동차 부품생산용 디지털공정 시뮬레이터 및 OLP 시스템
- 이동단말 부품 소형화를 위한 SoP 기판 제조 기술 개발
- 차세대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캡슐화 신 공정 기반기술 개발
- 차세대 초정밀 미립자 캡슐 기술 개발
- S~Ka band 대응 다기능 고집적 Passive Integration을 위한 세라믹 공정기술 개발
- 당쇄부가 제어기술을 통한 차세대 파브리병 효소치료제 개발
- 고안전 일체형 차체 판재 성형기술 개발
- 차세대 차량용 고안전 경량 Al 차체부품 개발
- 차세대 다기능화 임베디드 SOP-L 원천 기술 개발
- 차세대 패키지용 SOP(System On Package) 재료 및 기판 공정 기술 개발
- 바이오 로봇용 핵심요소 기술 개발
- 바이오기술을 응용한 진단검사용 지능형로봇 기술개발
- 진단 검사용 바이오 로봇 기술
- 차세대 ACF용 복합기능형 마이크로캡슐 기반 기술 개발
- 당쇄 리모델링을 위한 차세대 당쇄 제어 시스템 개발
- 차세대 다기능 슬림폰용 열적안정화모듈 및 플랫폼 개발
- CNC 제어 Al 소재 가변단면 압출기술개발
- Glycomics를 이용한 차세대 의약품 개발
- EUVL Test Bed 구축 및 평가기술 개발

참고자료

산업자원부/한국산업기술평가원, 〈산업기술지원사업 성과분석(산업기술개발사업)〉, 2005
산업자원부,〈2005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평가 자료〉, 2006
산업자원부 (http://www.mocie.go.kr)
한국산업기술평가원 (http://www.itep.re.kr)

집필자
이창운(한국산업기술평가원 선임연구원)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