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기술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
한국환경기술진흥원은 환경기술개발사업에 대한 기획, 관리, 평가 및 개발된 기술의 보급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환경기술의 향상을 통하여 환경보전에 이바지하고 환경산업육성에 기여하고자 설립된 환경부 산하기관이다.
한국환경기술진흥원은 지난 2001년 환경 관리 전문기관으로 발족하였으며, 2004년 12월 「환경기술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2005년 7월 법정기관화 하였다. 한국환경기술진흥원은 환경신기술 개발의 주역으로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 1단계(2001~2004)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환경기술개발 및 환경산업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이외에도 국가장기 생태연구사업, 토양오염확산방지사업, PCBs 연구사업, 환경기술 교육혁신 지원사업 등의 국가 환경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국제환경박람회 참가지원 및 개발 도상국과의 인력교류사업 등을 활발히 추진하여 개발된 기술의 수출 산업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1.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은 선택과 집중을 통한 핵심환경기술 개발을 통하여 2010년 까지 환경기술(ET)을 선진국 수준으로 진입시키고자 수립되었다. 총 1조 4,350억 원 규모로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동안 계획된 동 사업은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의 평가결과, 차세대사업의 목표, 추진체계 및 성과 등이 우수하여 지속적인 투자확대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2. 토양오염확산방지사업
토양오염확산방지사업 오염부지 평가수준을 선진국 대비 80%이상으로 달성시키고 우리나라 지형지질에 적합한 오염부지 평가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립되었다. 총 37억원 규모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5년에 걸쳐 진행될 동 사업은 학·연 또는 컨소시엄 형태로 추진되고 있으며 현장에 직접 적용가능한 환경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지정공모과제로 신청후 전문가 평가를 통하여 선정, 지원되고 있다.
3. 국가장기생태연구사업
지구온난화 등 환경변화에 따른 국토의 생태변화를 조사 연구 모니터링하기 위해 수립된 국가장기생태연구사업은 전 국토의 산림, 강, 습지, 섬, 연안 등 31개 지역을 대상으로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추진된다. 각 3년의 3단계로 구분하여 진행될 동 사업은 각 연구결과에 대한 평가결과를 단계별 반영하고, 연구결과를 매년 GIS-DB로 구축 관리하며, 국가장기생태연구 자료를 통해 구축자료를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4. PCBs 연구사업
PCBs 오염 제품 및 폐기물의 관리방안을 모색하고 국내 처리기반을 확보하는 등 PCBs 오염 근절을 위한 국내 역량을 강화하고자 수립된 PCBs 연구사업은 ‘PCBs근절을 위한 합의서’에 따라 제정된 「PCBs 정책협의회 운영규정」(환경부훈령 제248호, 2004.11.29) 및 "PCBs 연구사업 협약서"에 따라 2005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추진된다. 산학연 또는 컨소시엄 형태로 추진될 동 사업은 지정공모과제로 신청 접수 후 전문가 평가를 통하여 선정된 과제를 지원하고 있다.
5. 환경기술교육혁신지원사업
2010년에 8,850억 불에 이를 전망인 환경기술(ET)산업이 그 중요성에 비해 인력양성에 대한 투자가 크게 부족한 실정에서 사전예방, 청정기술, 오염복원 등 첨단복합 기술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전문 인력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환경기술분야 기술혁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대학원 중심의 고급인력 양성시스템 구축 필요함으로 환경기술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 활용하기 위한 ‘환경기술교육혁신지원사업’이 수립되었다. 2005년부터 9년간 추진될 동 사업은 1개 대학 당 5년 이내로 연 2억 4천만 원 한도에서 지원된다.
6. G-7 환경기술개발사업
G-7 환경기술개발사업은 1992년 6월 수립된 〈선도기술개발계획〉(일명 : G-7프로젝트)에 따라 선진국의 기술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11개 기반기술개발분야에 대해 소관부처별로 1992년부터 2001년까지 중점추진 중인 연구개발사업으로 환경분야에서는 ‘환경기술연구개발사업(G-7환경기술개발사업)’으로 작성되어 환경부가 주관하고 교육과학기술부 협조하에 수행되었다. G-7환경기술개발사업은 1992년에서 2001년까지 10년간 총 3,573억 원(정부 1,809/기업 1,764)을 투입하여 3단계로 구분하여 추진되었으며, 대기·수질·폐기물 등 26개 중점기술분야에서 331개의 연구개발과제가 수행되었다. G-7환경기술개발사업은 2003년 기준 산업재산권 출원 및 등록 928건, 기술실시계약 157개 과제 등의 성과를 얻고 있다.
한국환경기술진흥원 (http://www.keit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