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환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환경교통재해등에 관한 영향평가법」
「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배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1997년 9월 환경정책연구의 특성상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이 접목된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환경교통재해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에 의하여 환경영향평가서를 전문적으로 검토할 기관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1992년 12월에 설립된 한국환경기술개발원을 확대·개편한 환경부 산하기관으로 설립되었으며, 「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함께 국무총리실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전환되었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환경과 관련된 정책 및 기술의 연구개발과 환경영향평가의 전문성 및 공정성 재고를 통하여 환경문제의 예방과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

내용

1. 환경과 경제의 통합을 통한 지속가능발전 정책 수립
환경과 경제의 통합을 통한 지속가능발전 정책 수립의 일환으로지속가능발전 이행을 위한 국가환경종합계획 기본틀을 마련하고 환경과 사회 및 경제 분야의 통합적 정책수단을 개발하고 있다.


2. 국내 환경보전을 위한 정책 및 관리기법의 연구개발
국내 환경보전을 위한 정책 및 관리기법을 연구 개발하기 위하여 첫째, 맑은 물, 공기, 토양의 보전과 안전한 폐기물 관리 방법을 연구·개발하고 둘째, 미래세대를 위한 국토와 자연환경 보전정책을 연구하고 있으며 셋째, 생태계 보전 및 환경위해성 관리를 위한 정책 및 기법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3. 환경영향평가의 전문성 및 공정성 제고
환경영향평가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위해 환경영향평가서의 전문적 검토 및 평가기법을 개발· 보급하고, 효율적 국토관리를 위한 사전환경성검토 기능을 제고하고 있으며 통합영향평가 지원시스템 구축하고 있다. 



4. 지구환경 보전과 국제환경협력의 선도
국내환경문제뿐 아니라 지구환경보전과 국제환경협력을 선도하기 위해 환경관련 국제협력 및 협상대응을 위한 연구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동북아 지역 환경보전전략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남북환경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제환경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5. 환경정보의 제공과 환경정책 교육홍보
환경정책 교육·홍보를 위해 환경교육을 활성화시키고 있으며 환경교육의 연구성과를 홍보하고 있다. 또한 환경정보 제공을 위해 환경정보DB를 구축하고 있으며 환경정보화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참고자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http://www.kei.re.kr)

집필자
강상인(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