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도 일찍이 근대경찰의 탄생과 거의 때를 같이하여 경찰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경찰교육이 시행되었다. 개화기의 경찰학교와 경찰연습소, 일제하의 경찰관강습소 그리고광복 후 조선경찰학교 등이 우리나라 국립경찰 창설 이전의 경찰교육기관들이었으며 또한 경찰교육사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 현대적 경찰교육이 본격적으로 실시된 것은 경찰종합학교의 전신인 조선경찰학교가 1946년에 국립경찰전문학교로 승격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2. 현황
경찰종합학교는 4년제 경찰대학이 용인캠퍼스로 이전하기 전까지만 해도 현재 경찰대학에 개설된 모든 직무과정을, 1987년 중앙경찰학교가 개설되기 전까지는 신임 순경에 대한 신규임용 교육까지도 모두 담당하고 있었다.1990년대에 들어와서도 매년 30개 내외의 교육과정을 개설, 연평균 1만 명 정도씩 교육생을 배출하여 왔다. 이러한 수료생 숫자는 1980년대의 연간 2만 명 내외를 교육시키던 때와 비교하면 절반 정도인 셈이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1980년대 수준의 2만 여명을 교육시키고 있다. 교육과정을 보면, 간부후보생과 경정특채에 대한 신임과정, 경위 기본교육과 경사 기본교육인 기본과정, 해경 신규 채용자, 해경 경위 및 해경 경사에 대한 수탁과정이 있다.
1955년 개교 이래 2007년까지 무려 50만 여명의 교육생을 배출한 바 있는 인천시 부평동 소재의 경찰종합학교는 부지의 협소, 건물의 노후화, 야외사격장의 부재 등 여러 가지 여건이 좋지 않아 중부권에 위치한 아산으로 신축·이전하는 계획을 확정·진행 중에 있다.
3. 의의
경찰종합학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 경찰교육기관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간부후보생 과정과 직무 과정의 본산이기도 하다. 특히 경찰대학 졸업생이 배출되기 전까지는 국립경찰에 정예 경찰간부를 공급하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1947년 제1기 93명을 모집한 이후 2008년 현재 제56기생까지 총 3,958명의 경찰간부를 배출하였다. 연간 2만 명에 이르는 경정 이하의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전문 직무교육을 수행하면서 명실공히 경찰재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을 갖고 있다.경찰종합학교,《경찰종합학교 50년사》정양사, 1994
정진환,《경찰행정론》대영문화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