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농림해양수산

산림항공관리본부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산림법」(산림청)
「산불관리통합규정」(산림청)
배경

산림항공관리본부는 항공기에 의한산불진화 및 예방계도 비행, 산림병해충 항공방제, 산림공중순찰 및 단속, 산림사업 현지확인 및 조사에 따른 헬기지원, 산림사업 인원 및 물자공수, 재난발생시 구난구조 활동을 하기 위해 1971년 4월 1일 산림청항공대로 창설되었다.

내용

추진경과
산림항공관리본부는 1991년 5월 31일 산림항공관리소로 기구가 개편되었고(대통령령 제 13381호), 1993년 4월 8일 산림항공관리소 양산항공대를 신설하였으며, 1993년 7월 15일 양산격납고를 준공하였다. 1996년 12월 31일 산림항공관리소 익산지소, 양산지소로 기구가 개편되었고, 1997년 6월 26일 익산격납고 준공, 1998년 7월 23일 원주격납고 준공, 1998년 8월 1일 산림항공관리소 원주지소를 신설, 2000년 6월 23일 산림항공관리소 영암지소 신설, 2001년 12월 31일 산림항공관리소 안동지소, 강릉지소를 신설하였다. 2002년 9월 11일 산림항공관리소는 3급기관으로 승격되었고, 본소 과직제를 개편하였다. 2004년 5월 24일 산림항공관리소 진천지소를 신설하였고, 2006년 7월 27일 산림항공관리소를 산림항공관리본부 지소를 관리소로 명칭 변경하였다.


주요추진내용
산림항공관리본부의 주요 업무는 산불방제 및 항공방제이다. 산불방제는 산림청에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를 두고 그 아래 산림항공관리본부공중진화대는 공중인력투입과 헬기진화를 지원하고, 그 아래 시・도, 관리청에 시도산불방지대책본부를 두며, 시・군, 관리소에 시군산불방지대책본부(지상진화대)를 두며, 소형산불현장에서는 산림과장, 총괄팀장이, 중형산불은 시장, 군수, 본부장이, 대형산불현장은 시・도지사가 총괄지휘하며, 보조진화대는 공무원, 의용소방대, 산불감시원이 산불을 진화한다. 또한, 군・경, 소방서가 공조체제를 유지하여 조속히 산불을 진화한다. 관리소별로 KA-32는 본부 3대, 익산 4대, 양산 4대, 원주 4대, 영암 4대, 안동 4대, 강릉 3대, 진천 3대로 총 29대를 보유하고 있고, AS350-B2는 본부에 1대, 익산에 2대, 강릉에 1대 총 4대를 보유하고 있다. BELL206L-3은 양산에 2대, 원주에 1대, 영암에 2대, 안동에 1대를 총 6대, ANSAT는 본부에 2대, 강릉에 1대, 진천에 2대 등 총 5대를 보유하고 있다. 아울러 각 관리소는 격납고, 유지장비, 유지고 등을 보유하고 산불발생시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참고자료
산림항공관리본부(www.fao.go.kr/)
집필자
박재현(진주산업대 산림자원학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07.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