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경과
1980년대 말부터 콘크리트사방댐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축줄눈을 설치하기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대부분의 사방댐 시공시에는 수축줄눈을 설치하여 건조수축에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고 있고, 1990년대에는 기존 콘크리트사방댐의 반수면이 단조로운 콘크리트 벽면으로 되어 있어 주변의 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거부감을 주기 때문에 댐 반수면에 아름다운 문양과 색을 넣어 사방댐의 미적 효과를 부각시키고 있고 자연친화적인 전석댐이 시공되었다. 또한, 사방댐을 시공지역의 여건에 따라 평상시에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겸용기능을 갖게 하여산불진화 및 농업용수로 이용하는 방법과 휴양 및 주민편익시설 제공을 위한 다목적 사방댐으로 시공하기도 하였다.
주요추진내용
1999년에는 철강재사방댐시공계획이 발표되면서 직립형철강재사방댐과 다양한 철강재사방구조물의 시험시공이 이루어졌고, 2001년까지 시공된 16개소의 철강재사방댐에 대하여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철강재사방댐의 현장적용성과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1990년대에 하천생태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사방댐에도 어도설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2000년부터 사방댐 및 계간공작물에 어도를 설치하여 어류와 수서곤충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등 자연생태계를 보호하려는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1999년부터 사방댐의 준설사업이 채택되어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총 1,208개소를 준설했고, 2005년까지 전국에 1,743개소의 사방댐이 시공되었다. 그러나 매년 증가하는 사방댐에 비해 지난 20년간 전국에 필요한 8,694개 중 1,743개만이 시공되어 필요한 물량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