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보건

식품중 곰팡이 독소 실태 조사 사업(2001)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배경

수입식품 및 한약재의 급속한 증가에 따른 불량품의 국내 유입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안전성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곰팡이 독소는 곡류, 견과류 등의 식품 및 동물사료 중에서 간장독소(아플라톡신), 신장독소(오크라톡신), 발정독소(제랄레논), 신경독소(T-2)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들 발암성 유발 독소들은 각 나라마다 기준·규격이 다소 차이가 있으며, 미국은 식품뿐 만아니라 동물사료에도 곰팡이 독소의 기준·규격이 설정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식품 중 아플라톡신과 파튤린를 제외한 오크라톡신 A를 포함한 기타 곰팡이 독소에 대한 기준·규격이 미 설정되어 있어 안전성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곰팡이 독소는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안전관리가 요구되는 물질로서 식품 중 곰팡이 독소 잔류실태를 파악하여 관리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내용

가. 추진경과
2001년에는 사과주스 등 가공 식품에서 곰팡이 독소인 파튤린 오염도 조사를 수행하였고, 2002년도에는 견과류 및 단순가공품 중 총 아플라톡신(B1, B2, G1, G2)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2003년에는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유(乳)에 대한 총체적인 아플라톡신 M1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아플라톡신 M1 분석법을 개선·확립하였다. 이를 통해 전국의 시장, 슈퍼마켓 등에서 수거된 우유 중 총 아플라톡신 M1 함량을 조사하여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속과 속에 의해서 주로 생성되는 Patulin은 5~25℃에서 주로 생성되는 곰팡이 독소로서 사과를 원료로 사용하는 제품에서 검출됨에 따라 2003년도에 사과쥬스와 사과농축액에 대하여 기준을 설정한 바 있다. 2005년도에는 식품별 오크라톡신 A에 대한 최적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오크라톡신 A 평균 검출량과 이들 식품의 1인 1일 평균 섭취량, 극단섭취자의 1인 1일 극단섭취량 등을 조사하였다. 한국인의 오크라톡신 A 1일 섭취 추정량(PDI)은 일반인이 0.08ng/kg b.w/day, 극단섭취자는 0.247 ng/kg b.w/day였다. JECFA의 오크라톡신A 잠정 주간섭취허용량(PTWI)과 비교할 때 매우 낮은 수준이다.


나. 추진방법
곰팡이독소의 분석법 개발 및 오염실태조사를 통하여 곰팡이독소 안전관리 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대상 식품으로는 곡류, 건조과실류 및 그 가공식품 등이 해당되며 등에 의해서 생성된 독소(예, 오크라톡신 A, 제랄레논, deoxynivalenol 등), 한약재(식품원료 포함)중의 아플라톡신 오염실태조사, 노출평가 등 위해성 평가 후 기준 및 규격 설정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곰팡이독소의 종류(34종)】

Aflatoxin1)

Ergo Toxin

Neosolaniol

Slaflamin

Alternariol

Fumitrmorgen

Ochratoxins

Sporidesmin

Citreoviridin

Fumonisins

Oosporein

Starchbotryotoxins

Citrinin

Fusaric acid

Pasparitrems

Sterigmatocystin

Cyclopiazonic acid

Fusarins

Patulin1)

T-2 toxin

Deoxynivalenol(DON)

Islanditoxin

Penicillic acid

Tremorgens

Diacetoxydscri-penol

Leuteoskyrin

Penitrem

Zearalenone

Dicoumarol

Moniliformin

Phomopsin

Ergotamine

Monoacetoxy-scripenol

Roridins

1) : 우리나라에 기준이 설정되어 있음


다. 기대효과
전국적 규모의 곰팡이독소 오염 위해도평가를 수행할 수 있고, 독소류 등에 의한 식품 위해사고 대응체계 확립으로 병목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과학적인 안전성 평가를 통한 오염물질의 안전 관리체계 확보, 안전관리 정책수립 및 추진에 대한 국민의 신뢰와 일관성 확보가 가능하다.

참고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백서』, 2006

집필자
하상도(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부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14. 0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