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과학기술 육성법」제4조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 종합계획은 별도로 수립되었던 「건설교통 R&D 중장기계획」, 「국토교통 R&D 중장기전략」, 「국가교통기술개발계획」을 포함하여 국토교통 과학기술에 관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중장기 투자계획을 정하는 종합계획이다. 미래변화에 대응한 중점 기술 개발전략을 제시하고, 사업화 등 개발된 기술의 보급·활용 지원체계도 구축하고, 국토교통 분야 전문 연구인력 양성 등 R&D 수행기반 마련을 위한 전략적 추진방안을 제시한다.
제2차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 종합계획(2023-2032)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비젼과 목표
제2차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 종합계획의 비전은 기술혁신을 통한 공간과 이동의 패러다임 대전환이다. 국토교통 미래 대응 및 현안 해결을 목표로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추진전략5개와 기술과제 12개, 정책과제 5개를 선정하였다.
2. 추진전략
2024년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R&D)의 5대 추진전략은 ①초연결 국토도시 공간 혁신, ②미래형 모빌리티 체계 대전환, ③지속가능한 국토교통 기반시설 고도화, ④국민이 참여하는 창의적 생활공간 조성, ⑤R&D를 통한 산업혁신 기반조성 이다. 그 밖에 2대 특별과제로 국가전략기술 육성, 탄소중립 기술혁신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사업별 투자계획은 국토기술분야가 28개사업 163,082백만원, 교통기술분야가 43개사업 299,008백만원, 기반구축 분야가 11개사업 65,937백만원, 기후대응분야가 9개사업 57,826백만원 규모이다.
① 초연결 국토도시 공간 혁신
신산업(로봇, 자율주행차, UAM 등) 확대에 적합한 첨단 국토공간조성 및 플랫폼 구축 기술 중점 투자하고, 위치기반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각종 재난 사전 예측기술 고도화 등 재난안전 서비스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② 미래형 모빌리티 체계 대전환
ICT·IoT 등 첨단기술 활용한 이용자 맞춤형 신교통수단(자율주행차, UAM, 친환경차 등)의 혁신적 기술개발에 집중투자하고, 저상좌석버스 표준모델, 한국형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성 향상 기술 등 안전한 모빌리티 기술도 지속 지원한다.
③ 지속가능한 국토교통 기반시설 고도화
건설산업 디지털 전환·지능화 등을 통한 생산성·안전성·수익성 향상 및 기후변화 대응 SOC 회복성 확보 기술 등에 집중투자하고, 친환경 에너지 생산·보급·활용을 위한 플랜트 기술 등을 지원한다. 또한,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노후 인프라 유지보수 효율화 및 SOC 안전성과 관련된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④ 국민이 참여하는 창의적 생활공간 조성
지방도시에 첨단인프라 구축 및 공유·창업공간 조성 등 지역특화산업 육성 기술에 집중투자하고, 건물에너지·생활소음 등 국민 주거환경 문제해결 기술을 지속개발한다.
⑤ R&D를 통한 산업혁신 기반조성
민간주도 혁신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화 R&D ·맞춤형 기업 지원 및 신산업 연계 융복합 인재양성 등에 집중투자하고, 해외진출 지원할 첨단 실험인프라 고도화 및 국제협력 R&D룰 추진한다.
그밖에 2대 특별과제 중 하나인 국가전략기술 육성은 완전자율주행차, UAM, 첨단로봇과 같은 첨단모빌리티와 전기차·수소차와 같은 친환경차 핵심기술을 집중 지원한다. 또다른 특별과제인 탄소중립 기술혁신은 탄소배출량 관리 등 건축물·도시단위 에너지 효율향상 기술과 수소버스, 석유코크스 활용 수소생산 기술개발,, AI·디지털 기술을 통한 저탄소 도시 인프라 효율 극대화 실증을 추진한다.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제2차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 종합계획(2023-2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