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수송및교통

국가철도공단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한국철도시설공단법(법률 제6956, 2003.7.29. 제정)

국가철도공단법(법률 제17460, 2020.6.9. 개정, 2020.9.10. 시행)

철도산업발전기본법(법률 제6955, 2003.7.29. 제정)

경과

2003철도산업발전기본법한국철도시설공단법이 제정공포됨에 따라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설립되었다. 20206월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국가철도공단으로 명칭을 수정하였다

내용

국가철도공단은 철도산업 구조개혁의 일환으로, 200411철도청 일부와 한국고속철도 건설공단이 통합하여 출범한 국토교통부 산하기관이다. 철도시설의 건설 및 관리와 그 밖에 이와 관련되는 사업을 효율적으로 시행하도록 함으로써 국민의 교통편의를 증진하고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업무는 21세기 풍요로운 철도교통 시대 선도, 체계적인 철도시설 및 자산관리, 지속가능한 글로벌 핵심 경쟁력 확보, 상생의 고객가치 제고와 윤리경영의 정착, 신뢰하는 조직문화와 사회책임 실현 등이다. 21세기 풍요로운 철도교통 시대 선도 분야는 고속철도, 일반철도, 광역철도망 등 철도확충사업과 남북철도 및 북한철도 현대화와 미래철도사업 진출 등이다. 고속철도는 현재 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 등이 진행 중이며, 일반선은 완공, 전략사업위주로 집중 투자되어 신설건설 및 기존선 현대화 사업이 진행중이다. 광역철도망은 수도권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시행하는 사업이며, 남북철도사업은 개성-신의주간 철도 개보수, 해주경제특구 철도인프라 구축사업에 참여하고있다. 미래철도사업이란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도시경전철사업에 참여하고, 해외진출을 추진 중이다. 체계적인 철도시설 및 자산관리분야는 철도시설관리의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철도시설물의 전산화, 내진성능을 지속적으로 강화시키고, 방재설비를 보완하는 것이다. 철도시설공단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업관리 전문조직을 정착하고, 철도기술력 기술개발 역량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1. 주요 임무

- 철도시설의 건설 및 관리

- 외국철도 건설과 남북 연결 철도망 및 동북아 철도망의 건설

- 철도시설에 관한 기술의 개발·관리 및 지원

- 철도시설 건설 및 관리에 따른 철도의 역세권, 철도 부근 지역 및 철도의 건설 및 철도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23조의2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점용허가한 철도 관련 국유재산의 개발·운영

- 건널목 입체화 등 철도 횡단시설 사업

- 철도의 안전관리 및 재해 대책의 집행

 

2. 고속철도 주요 사업현황

- ‘02~’27 경부고속철도 2단계

- ‘06~’15 호남고속철도

- ’16~‘26 인천발 KTX사업

- ’16~‘26 수원발 KTX 사업

- ’20~‘27 평택~오송 2복선화 건설사업

 

3. 시설 및 장비 현황

- 광명역, 천안아산역, 대전역 등 고속철도역사

- 철도노선별 교량, 터널 등 구조물, 궤도 및 전기시설

- 검수고, 변전소, 공장, 창고 등 차량기지

- 궤도장비, 전철공사용장비, 수송장비, 검측장비, 장비운용절차

참고자료

법제처 종합법령정보센터

국가철도공단 홈페이지

집필자
박규영(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연구원)
수정집필자
유소영(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24. 09.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