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환경

동북아환경협력고위급회의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배경

대도시 대기오염, 산업폐수, 하천수질 오염, 사막화, 산업 및 핵폐기물로 인한 해양오염 등이 동아시아지역의 주요한 환경오염 문제로 등장함에 따라 한국, 중국, 일본 등의 역내국가를 중심으로 정부간 대화와 협력을 통해 다자간 환경협력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으며, 1992 7월 제 5차 한ESCAP 협력기금 연례회의에서 ESCAP 주관의 동북아환경협력회의체 구성이 구체화되었으며, ESCAP이 임시사무국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회의에는 한국중국일본몽골러시아북한 등 동북아 6개국과 UNESCAP(유엔아태경제이사회), UNDP(유엔개발계획), UNEP(유엔환경계획), ADB(아시아개발은행), World Bank (세계은행)가 참여하고 있으며, 정부간 회의체로 1993 2월 서울에서 제 1차 회의가 개최된 이래, 2005년 제 11차 회의에서는 NEASPEC의 제도적재정적 메커니즘 강화 문제, 향후 활동 방향 등을 논의하였고 대기오염 저감 및 자연보전 등 협력사업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내용

동북아 환경협력고위급회의에서 추진하는 협력사업으로는 국립환경연구원이 주도하는 ‘동북아 환경데이터교육훈련센터’가 있으며, 한국전력연구원이 ‘석탄 화력발전소 오염저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 대기오염 저감추진사업

주요 참가국들은 대기오염저감사업에 대한 북한, 러시아의 참여유도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공적인 대도시 대기질 관리정책을 위한 데이터 구축 및 모델링 작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책 성공 및 실패 사례에 대한 경험 공유 등 상호 정보교환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2. 자연보전 협력사업

자연보존 분야에서 국경 인접지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을 보호하기 위한 밀렵방지 관련법령의 정비, 대중인식 교육 및 홍보, 생태도로 건설 등, 서식지 보호를 위한 다각적 생태계보전 노력이 모색되고 있다.

참고자료

NEASPEC (http://www.neaspec.org)

<동북아환경협력고위급회의에 관한 환경부보고서> (환경부 홈페이지)

《2006 환경백서》, 환경부

집필자
강상인(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07.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