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12월 21일 「신용보증기금법」이 제정·공포되고 1975년 3월 1일 「신용보증기금법」이 시행되었으며 1976년 6월 1일 「신용보증기금」이 창립되었다. 이후 신용보증기금은 중소기업의 자금융통이라는 목적을 충실히 수행하였는데, 1990년대 들어와 산업구조가 크게 변화하면서 1995년 5월 30일 「산업기반신용보증기금」이 설치되었고 1996년 12월 30일에는 「신용보증기금법」 5차개정으로 정부출연 예산 소관을 중소기업청으로 변경하였다. 1997년 4월 10일 「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특별조치법」이 제정·공포됨으로써 신용보증기금이 어음보험 업무를 취급토록 규정이 바뀌었다. 1998년 5월 25일에는 「근로자의 주거안정과 목돈마련지원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어 1999년 1월 1일부터 주택금융 신용보증기금의 관리 기관으로 지정되었다. 1999년 1월 1일에는 산업은행, 기술신보의 산업기반신용보증기금을 신용보증기금의 산업기반신용보증기금에 통합하였다. 2000년 12월 31일에는 신용보증기금법 6차개정으로 금융기관 출연시한이 폐지되었고, 2003년 7월 29일에는 「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특별조치법」의 개정·공포로 「신용보증기금」이 어음보험과 함께 매출채권보험을 취급하게 되었다. 2004년 3월 1일에는 한국주택금융공사로 주택금융신용보증업무를 이관하였고 2004년 3월 2일에는 매출채권보험업무를 시행하였다. 2005년 3월 25일에는 신용정보업무를 한국기업데이터로 이관하였다.
신용보증기금의 주요업무는 신용보증, 신용정보종합관리, 경영지도, 신용보험, 산업기반신용보증으로 되어 있다. 이들 업무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이용방법은 신용보증기금 홈페이지(http://www.kodit.co.kr)를 통하여 공개, 안내되고 있다. 현재 신용보증기금은 코딧비젼을 선포하여 시행하고 있는데 그 기본방향은 다음 4가지이다.
(1) 보증기업 등 외부고객의 의견을 분석ㆍ반영한 고객만족 비전
(2) 체계적인 경영전망과 환경분석을 기초로 한 실현가능한 비전
* 경영전망은 매년 수정ㆍ보완하는 연동계획(Rolling Plan)으로 운용
(3) 신사업 부문 등 새로운 혁신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는 미래지향적 비전
(4)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등 변화관리가 시스템화 된 지속가능한 비전
또 신용보증기금은 열린코딧참여위원회를 만들어 고객의 의견을 직접 수렴할 수 있는 창구역할을 수행하면서 내실있는 경영공시를 위한 자문을 받는 등 열린 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위원회는 사내위원 3명 외에 고객대표,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언론사논설위원, 시민단체, 대학교수 등으로 구성된 외부위원 10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용보증기금」은 점차 중소기업 종합지원기관으로서의 성격으로 발전하여 왔다. 이런 가운데 「신용보증기금」은 신용보증을 통하여 중소기업의 금융을 원활히 하고 신용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운용을 통하여 건전한 신용질서를 확립함으로써, 균형있는 국민경제의 발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신용보증기금」은 신용보증, 경영지도, 신용보험, 산업기반신용보증 등 중소기업지원기관으로 출연금의 12-13배에 이르는 신용을 창출하여 국가 경제의 선순환구조를 유도하며 긴급한 경제위기 극복에 기여함으로써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편,《신용보증기금 관련 존치평가에 대한 메타평가》국회예산국회예산정책처정책처, 2005.
김완기, <금융환경변화에 따른 신용보증기금의 기능제고방안: 제1차 기금업무발전 토론회와 관련하여> 《보증월보》98 신용보증기금, 1998. 2, pp. 2-16.
박찬기, <기업간 상거래 보증에 관한 고찰> 《보증월보》171, 신용보증기금, 1995. 3, pp. 23-40.
신용보증기금,《신용보증기금 30년의 평가와 향후 과제》, 2005.
신용보증기금, <중소기업과 신용보증기금의 역할> 《보증월보》243, 신용보증기금, 2001. 3, pp. 3-26.
신용보증기금 홈페이지(http://www.kodit.co.kr), 2007. 9. 21.
심의섭, <1990년대와 신용보증기금의 과제> 《보증월보》100, 신용보증기금, 1989. 4, pp. 4-12.
정용진 <악의적 채무자에 대한 구상권행사 대응방안과 신용보증기금법의 재검토: 구상권 회수 극대화방안>《보증월보>> 189, 신용보증기금, 1996. 9, pp.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