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1995년 국가지리정보체계의 구축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이어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구축 계획이 수립되었다. 이와 연계하여 산림분야에서는 1995년부터 산림입지조사를 시작으로 산림지리정보 사업이 추진되었다.
산림분야는 NGIS 제 1단계 기본계획에 따라 1997년부터 공공 GIS 활용체계 개발의 우선추진 5개과제 중 하나로 선정되어 타 부처와 연계하여 산림분야 기초자료(주제도)구축을 시작하여 제 4차 산림기본계획(1998~2007)에 반영하여 본격적인 사업이 추진되었다. 현재까지 표와 같이 임상도를 비롯한 6가지의 기본도가 작성 완료되었다.
수치지도명 | 구축년도 | 수량(도엽) | DB내용 | 축적 |
임상도 | ‘95∼96 | 751 | 임상, 수종, 경급, 영급, 밀도 등 | |
산지이용구분도 | ‘97∼’98 | 793 | 산림용도구분(생산,공익,보전) | |
국유임소반도 | ‘98∼’00 | 728 | 국유림경계, 영림구, 임반, 소반 | |
임도망도 | ‘99 | 607 | 임도구역 및 시설현황 등 | 〃 |
산림입지도 | ‘00∼’03 | 812 | 표고, 토양, 지형, 잠재생산력 등 | 〃 |
백두대간 구역도 | ‘05 | 71 | 백두대간 보호구역 정보 | 〃 |
국유재산 기본도 | ‘06 | 819 | 지적도에 근거한 국유재산기본도 |
또한 기본주제도를 이용한 응용시스템을 개발하여 현업에서 직접활용하여 업무성과 창출과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구축된 시스템은 산림지리정보종합관리시스템으로 5개 산림 기본주제도, 지적도, 지형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을 활용하여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산림정책 수립과 효율적인 산림행정업무를 추진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산림청 소속 기관은 물론 지방자치단체에도 보급되어 산림관서의 현업에 이용되고 있다. 또 적지적수프로그램은 산림입지도를 기본으로 개발되어 내 땅에 어떤 나무가 가장 적합한지를 바로 알려줄 수 있는 시스템으로 과학적인 산림경영에 도움을 주고 있다. 세 번째로는 산사태위험정보 시스템의 구축으로 산사태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컴퓨터가 분석하여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므로서 재난피해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이다.
최근에는 국토통합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축적이 1:5,000인 산림관련 수치지도를 완성하였고, 산림정밀지도를 제주도를 시작으로 매년 3,4개 시군을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전국의 산림에 대한 정밀지도 제작을 추진 중이다,
향후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지원과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통계기반 구축 등에 GIS 기술이 필수적으로 적용될 전망이기 때문에 산림 GIS의 표준화 체계를 확립하는 하고, 자료의 정확성과 최신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림청, 《산림과 임업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2008)
산림청, <주요업무 세부추진계획>(2008)
국가GIS 교육센터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