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공공질서

여자경찰의 창설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조선국립경찰의 조직에 관한 건」
배경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는 해방을 맞이하게 되었다. 1945년 10월 21일에 정식 출범한 한국 경찰은 비록 그것이 군정경찰의 성격을 띠고 있었으나 그 운영 자체는 한국인 손으로 이루어졌다. 1945년 12월 27일 경무국 고문인 매클린 헌병대령이 서명한 「조선국립경찰의 조직에 관한 건」은 당시 경찰의 조직편성에 대한 주요 내용을 담고 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동시에 10월 21일 미군정으로부터 경찰 운영권을 넘겨받았다. 이 날을 기념하기 위하여 1973년부터 국립 경찰 창립일로 ‘경찰의 날’로 명명하여 기념하고 있다.


선진 국가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여성의 참정권을 속속 인정하게 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여성의 사회진출도 더욱 활발하게 되었다. 또한 여성의 공직 진출도 허용하여 사회에서의 제반활동에 성차별을 두지 않았다. 점차 여성해방이라는 조류가 고조되어가고 있었다. 이러한 시대조류에 편승하여 우리나라 여자경찰은 1946년 7월 1일 경무부 공안국에 여자경찰이라는 과단위의 기구가 생긴 것이 그 제도적 효시였다.
내용
가. 경찰업무에 있어서의 여자경찰 임무 연구
여성은 체력에 있어서 남성에 미치지 못하는 약점을 갖고 있다. 군인과 경찰 등 체력이 위주가 되는 공직에는 여성의 진출을 꺼려하는 것이 당시의 사고였다. 하지만, 여성이 종군하여 상이병을 간호하거나 여성에 대한 신체수색 등 특수한 임무에 종사하는 것이 오히려 남성보다도 우월한 점을 경찰수뇌부들이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경찰분야에서도 여성이라는 장점을 활용하여 남자 경찰관이 하기 어려운 업무를 담당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부단히 진행되었다. 그 결과 1946년 5월 경무부장 조병옥과 경무부 고문 프롬 대령은 여성피의자의 신체수색이나 여성범죄자의 감시, 불량소년이나 소녀에 대한 조치, 미아와 노인 등 요구호자에 대한 구호조치에 여경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애국부인단체를 통하여 협조해줄 것을 요청한 결과 여자경찰이 창설되었다.


나. 모집과 교육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여자경찰관을 모집한 것은 1946년 5월 15일이다. 간부 15명과 여경 1기생 64명은 2개월간의 훈련을 이수한 뒤에 7월 16일에 배출되어 전원 중앙에 배치되었다. 이 때 여자경찰과 초대과장에는 간부 중에서 고봉경 총경을 임명하였다. 이듬해인 1947년 1월에는 여경의 정원이 500명으로 책정되어(전체 경찰의 약 1.8%) 각 도의 일선 경찰서에 여경이 배치되었으며, 2월 17일에는 수도관구경찰청에 여자경찰서가 창설되어 초대 서장에 양한나 총경이 취임하였다. 이어서 7월 1일에는 부산, 대구, 인천 등지에서 여자경찰서가 신설됨으로써 여자경찰의 활동이 시작되었다.


다. 조직과 임무
당시 여경의 전반적인 조직과 임무는 1947년 6월 21일 통첩을 통해 제시되었다. 이에 앞서 1947년 3월 8일 제61호로 경무부장으로부터 민정장관에게 제출된 경무부 사무분장에 근거한 경무부 치안국 여경과의 임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여경 감찰에 관한 사항
② 불량소년, 소녀의 지도 감화 및 취체
③ 부녀자의 풍기 및 수사에 관한 사항
④ 여성범죄 정보수집 및 수사보조에 관한 사항
⑤ 부녀, 소년, 소녀의 유치장 간수에 관한 사항
⑥ 교통사고조사 보조에 관한 사항


라. 의의
여자경찰관 제도의 창설과 교육은 일제의 앞잡이로 불렸던 경찰(순사)들이 대거 퇴진함으로써 생긴 경찰력의 공백을 메워주었다. 광복 이후의 과도적인 사회혼란 가운데서 부녀자나 청소년들의 패륜행위나 범죄에 대한 지도, 보호, 계몽에 있어서도 큰 활약을 하였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당시 우리 사회의 남존여비사상을 극복하고 여권신장, 남녀평등의 자주적이며 민주적인 이념실천에 커다란 공헌을 하였다는 것이다. 여자경찰관의 활동으로 우리사회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여성해방이라는 시대 조류에도 편승할 수 있었다.
참고자료
경찰청 《경찰50년사》, 1995
서울지방경찰청 《서울경찰총람》, 1993
내무부치안국 《한국경찰사Ⅱ》, 광명인쇄공사, 1973
집필자
전대양(관동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14. 11. 03
최종 주제 수정
2014.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