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경제권선도산업 육성사업은 지역자율성 및 선택과 집중을 원칙으로 권역 내 합의를 거쳐 12개 선도 산업·20개 프로젝트를 선정·지원하였다. 세부적으로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기술개발사업(R&D)은 3년 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유명 상품, 부품 소재, 핵심기술 등 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는 상품(End Product, 유형·무형, 제품·서비스, 완제품·부품소재) 개발에 주력하였다. 그리고 산업생태계 지원 사업(비R&D)은 유망상품 개발에 필요한 기술지원, 기업지원, 인력양성, 국제협력, 네트워킹, 수입규제 대응 등 기업활동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기능 제공에 초점을 두었다.
광역경제권 선도 산업 육성사업의 내용을 보면 첫째, 충청권은 2가지 선도 산업을 추진하는 데, NEW IT 선도 산업에서는 무선통신 프로젝트(차세대 무선통신 핵심공정 및 인증지원)와 그린반도체 프로젝트를, 그리고 의약바이오 선도 산업에서는 의약바이오허브 연계프로젝트와 신약실용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둘째, 호남권은 신·재생에너지 선도 산업에서 태양광 프로젝트와 풍력 프로젝트를, 그리고 친환경 부품소재 선도 산업에서는 광기반 융합부품·소재산업 프로젝트와 하이브리드카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셋째, 동남권의 경우 수송기계 선도 산업에서 그린카 프로젝트와 해양플랜트 프로젝트를, 융합부품소재 선도 산업에서는 기계부품 프로젝트와 안전편의 수송부품 프로젝트를 포함한다.
넷째, 대경권의 경우 그린에너지 선도 산업에서 수소연료전지 프로젝트와 태양광 프로젝트를, IT융·복합 선도 산업에서는 실용로봇 프로젝트와 의료기기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다섯째, 강원권의 경우 의료융합 선도 산업에서 바이오메디컬 프로젝트를, 의료관광 선도 산업에서는 의료관광거점 프로젝트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제주권은 물 산업 선도 산업에서 제주워터 프로젝트를, 관광레저 선도 산업에서는 MICE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러한 광역경제권 선도 산업 육상사업은 4가지 측면의 특징을 가진다.
첫째, 글로벌 경쟁력으로 유망상품, 부품소재, 핵심기술 등 경쟁력 원천별로 전략 방향을 도출하여 유망상품 중심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주력한다.
둘째, 연계협력으로 선도 산업 프로젝트 단위의 통합된 패키지형태 추진으로 광역권간, 시·도간 연계협력을 통해 클러스터의 임계규모를 확대하였다.
셋째, 민간주도로서 기업수요를 반영하여 사업을 기획하고, 기업이 실질적인 수행주체로 참여하는 등 수요자 중심의 과제 발굴 및 기업주도의 사업을 추진하였다.
넷째, 가치창출로써 기 구축된 인프라를 연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 성격 중심의 사업추진으로 비용절감보다는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데에 주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