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국토및지역개발

수도권대학입지규모 및 정원총량제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수도권정비계획법」 (법률 제3600호, 1982.12.31. 제정)
「수도권정비계획법시행령」(대통령령 제11251호, 1983.10.20. 제정)
내용
가. 주요 내용
수도권 규제에 있어 대학과 관련된 규제는 두 가지이다. 대학의 신설 및 이전에 관한 제한을 하고 있는 입지규제와 대학의 입학 정원의 증가를 제한하는 입학정원 총량규제이다.
 입지규제는 기술한 대로 각 권역 내에서 대학의 신설이나 이전을 금지하는 행위제한이다. 대학은 4년제 대학 및 교육대학, 소규모대학, 전문대학 등으로 나누어 차등적으로 규제되고 있다.
아울러, 수도권에의 인구집중 억제 차원에서 대학의 정원도 총량으로 엄격히 규제된다. 우선, 4년제 대학과 교육대학 및 소규모대학의 입학정원 증원은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허용여부를 결정한다. 다만, 총 정원 범위내에서 대학별 정원은 교육부장관이 자율 결정한다. 산업대학․전문대학의 입학정원 증가는 전년도 전국 총증가수의 10%이내에서 교육부장관이 허용여부를 결정한다. 10% 초과시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한다. 대학원대학의 경우에는 수도권 전체에서 300인 이내(첨단분야 제외)에서 교육부장관이 결정하고, 300인을 초과할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한다.

구분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

인구집중유발시설

대학

신설

금지

산업대학전문대학(서울제외), 대학원대학 신설

간호전문대학(3년제,신설10년이후)을 간호대학으로 신설(심의)

금지

산업대학전문대학대학원대학

소규모대학(50인이하) 신설(심의)

신설 8년미만 소규모대학 증원(심의)

 

금지

전문대학대학원대학소규모대학 (50인이하) 신설(심의)

신설 8년미만 소규모대학 증원(심의)

 

이전

가능

과밀과밀

, 과밀서울 금지

가능

수도권성장

금지

전문대학대학원대학소규모대학 (50인이하)에 한하여 권역내 이전 가능

증원

매년 총량으로 규제


나. 대학규제
대학규제는 대학의 수도권 내 신설 및 이전에 대한 입지규제와 입학정원에 대한 총량규제로 구분된다. 4년제 대학의 수도권 내 신설은 엄격히 금지되고, 소규모 대학(정원 50~100인), 대학원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의 수도권 내 신설은 제한적으로 허용되며, 대학의 권역 간 이전도 제한된다.

                                                  (수도권 내 대학입지규제)

구 분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

권 역

자연보전

권 역

서 울

서울 이외

신설

4년제교육대학

금 지

금 지

소규모대학

심의 후 가능

대학원대학

가 능

가 능

가 능

심의 후 가능

산업대학

금 지

금 지

전문대학

심의 후 가능

이전

(전입)

4년제교육대학

심의 후

서울 내 가능

심의 후 권역 내

(서울이전 금지

수도권 내

(서울 이전 금지)

금 지

소규모대학

권역 내 가능

대학원대학

서울 내 가능

권역 내 가능

(서울 이전 금지)

산업대학

금 지

전문대학

권역 내 가능


자료 : 최충규, 수도권 및 지역균형발전정책, 한국경제연구원, 2007.

4년제 대학 교육대학의 입학정원의 증원 및 입학정원 50인 이내의 대학(첨단전문분야 대학은 100인 이내)의 신설허용 여부와 그 총증가수는 건교부장관이 수도권심의를 거쳐 결정(대학별 정원은 교육부장관이 총정원 내에서 자율 결정)하게 된다.
산업대학 전문대학의 입학정원 총증가수는 전년도 전국 입학정원 총증가수의 10% 이내에서 교육부장관이 결정(10% 초과 시 수도권심의를 거쳐 결정)한다.
대학원대학의 입학정원 총증가수는 수도권 전체 300인 이내(첨단전문분야 대학원대학 제외)에서 교육부장관이 결정(300인 초과 시 수도권심의를 거쳐 결정)한다.

참고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수도권규제 문제점과 합리화 방향》, 2014.
최충규, 《수도권 및 지역균형발전정책, 한국경제연구원》, 2007.
집필자
김흥태(URI 미래전략연구원 원장)
최초 주제 집필
2017. 12. 26
최종 주제 수정